Cloudest - 블로그 이사했습니다
노션으로 블로그를 옮겼습니다.
흥미로운 포스팅이 올라옵니다!
cloudest.oopy.io
💡
준비물 : AWS 계정 및 백업 할 인스턴스
시작 전
- AWS Backup이란? : 파일 시스템, 블록 스토리지 볼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NoSQL 데이터베이스등의 백업을 필요한 순간에 손쉽게 자동(or 수동)백업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 백업의 자동화와 중앙관리화를 위한 서비스이다.
AWS Backup
몇 가지 고려 사항
- 서비스 – EBS 볼륨, RDS 데이터베이스, DynamoDB 테이블, EFS, Storage Gateway 볼륨 지원. Backup에서는 EFS 파일 시스템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에 대해 기존 스냅샷 작업을 사용한다. → 증분 방식의 스냅샷 작업을 지원한다.
- 프로그래밍 방식의 액세스 – 앞서 AWS Command Line Interface(CLI) 및 AWS Backup API를 사용하여 모든 기능에 액세스 가능하지만 엄두가 나지 않는다.
- 리전 – 여러 리전에 걸쳐 백업의 사본을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본은 백업게획의 볼트 및 수명 주기 구성을 상속받으며 개별 지정도 가능하다.
- 요금 – 기본 AWS 스냅샷 기능을 사용하여 생성된 백업에 대해서는 일반 AWS 요금이 부과됩니다. Amazon EFS에서는 웜 스토리지의 경우 GB당 낮은 비용, 콜드 스토리지의 경우 더 낮은 비용을 부과합니다.
결론
- EC2로만 진행해보긴 했지만 AWS Backup은 설정만 잘 해두면 굉장히 편리할 것 같다.
- 증분식 백업시스템 또한 유지되므로 백업은 Backup 콘솔, 복원은 EC2 콘솔을 통해서 진행하는게 좋아보인다.
- 복원은 EBS 볼륨단위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방법은 EC2 콘솔에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Uploaded by Notion2Tistory v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