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est - 블로그 이사했습니다
노션으로 블로그를 옮겼습니다.
흥미로운 포스팅이 올라옵니다!
cloudest.oopy.io
Terraform Graph란?
- Graph를 통해 의존성 및 테라폼이 생성할 리소스에 대한 관계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기능
- Terraform graph 명령의 결과로 DOT라는 그래프 설명 언어가 출력된다.
- 출력된 결과를 번역사이트에서 그래프로 바꿔서 확인할 수 있다.
Terraform Graph 사용
- 이전 글에 작성한 간단한 EC2 생성 코드를 통해 Terraform graph를 확인해보자.
Graph 사용 예시 펼쳐보기
- 코드 작성 ( us-east-1 리전 Default vpc에 EC2를 생성하는 코드)
provider "aws" { region = "us-east-1" access_key = "IAM Access Key 입력" secret_key = "IAM Secret Access Key 입력" } resource "aws_instance" "example" { ami = "ami-40d28157" instance_type = "t2.micro" tags = { Name = "cloudest" } } output "instance_ip_addr" { value = aws_instance.example.private_ip } output "Instance_pubip_addr" { value = aws_instance.example.public_ip }
- Graphviz Online 사이트에 접속
기본 페이지로 의존성에 대한 설명을 잘 모여주고 있다.
- 코드 작성 ( us-east-1 리전 Default vpc에 EC2를 생성하는 코드)
결론
- 코드로 리소스를 생성하기 때문에 토폴로지나 의존성에 대한 답답함을 Terraform Graph가 어느정도 풀어줄 수 있을것 같다.
Uploaded by Notion2Tistory v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