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Migration
- 마이그레이션
- zabbix
- Session Manager
- S3
- Boto3
- 자빅스
- centos8
- VDI
- ALB
- Ami
- EFs
- VPC피어링
- dms
- EC2
- RDS
- cloudwatch
- WSL
- AWS
- terraform
- Iam
- AutoScaling
- 꿀팁
- IAC
- mobaXTerm
- Workspaces
- AppStream2.0
- 테라폼
- 모니터링
- aws cli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ms-sql (1)
구름
💡 준비물 : AWS 계정 시작 전 지금까지 DB를 직접적으로 활용할 일이 없어서 DB설치를 하더라도 MySQL / MariaDB 만 간단하게 설치하고 사용했었다. 보통 Linux에 서버를 설치하는 위 DB들과 다르게 MS-SQL를 설치 해보려 한다. RDS 생성 MS-SQL DB 생성 - (아래 나오지 않은 설정은 Default로 지정한다.) RDS 콘솔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Microsoft SQL Server를 프리티어로 선택 SQL Server Express Edition을 선택한다. 버전은 SQL Server 2019를 제외한 모든 버전에서 프리 티어를 지원한다. DB 식별자 및 자격 증명 설정 마스터 ID/PW는 DB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이므로 꼭 기억해야 한다. 스토리지 자동 조정 비활..
Cloud/일반
2021. 1. 19. 17:58